임대차보호법 해설집

정부는 실수요자 보호를 최우선으로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정부는 실수요자 보호, 투기수요 근절, 맞춤형 대책을 최우선 목표로 하여 일관되게 주택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습니다.

    7.10일 발표된 「주택시장 안정 보완대책」 또한 이러한 기조 하에 다주택자와 단기 차익을 노리는 투기성 거래에 대해서만 조세 부담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실거주 목적의 1세대 1주택자는 이번 대책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가중되는 부담은 없습니다.
  • 취득에서 양도까지 실거주 1세대 1주택자 세제혜택 총정리

실수요자를 보호하기 위해 실거주 1세대 1주택자에 대해서는 다양한 비과세 및 감면 혜택을 운영해 오고 있습니다.

(취득시)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3억원 이하(수도권 4억원 이하*) 주택에 대해 취득세를 50~100% 감면할 계획입니다.

* 수도권 주택 중위가격(‘20.6월): 4.3억원
이번 대책에서의 취득세율 인상은 다주택자와 법인에 국한*되며, 거주하는 주택을 교체하려는 목적의 일시적 2주택자에 대해서도 취득세를 중과하지 않습니다.
* 1주택 1~3%(현행 유지), 2주택 8%, 3주택 이상·법인 12%

(보유시) 1주택자에 대한 종합부동산세율 인상은 지난 12.16 대책으로 발표된 0.2~0.3%p 수준이며, 이번 대책으로 종부세가 인상되는 경우는 다주택자에 한정되며 그 규모도 전체 인구의 0.4%에 불과합니다.

시가 15억원 상당의 1주택자가 부담하는 종합부동산세 증가액(시가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은 年 6만원(최대 공제 시) ~ 50만원(공제 미적용) 수준이며, 종부세를 납부하는 1주택자 대부분은 종합부동산세 증가액이 이보다 더 낮습니다.
* 종부세 납세하는 1주택자 중 시가15억원(공시가 12억) 이하 1주택자는 59.1% 수준
< 1세대1주택(시가 15억) 종부세 세부담(만원) >
  ‘20년 ‘21년 증감
공제미적용 42 92 +50
최대 공제 12 18 +6
* ‘20년 시가, ‘21년 시가는 15억원으로 동일하다고 가정
공정시장가액비율 ’20년 90%, ’21년 95% 적용
공시가격 현실화율 : ’20년 70% ’21년 75%
해당 주택을 장기간 보유하였거나 연령이 많아 담세력이 부족한 고령자인 경우 종부세의 최대 70%까지 세액을 공제받을 수 있으며, 내년부터는 공제 한도를 80%로 추가 상향할 계획입니다.
재산세의 경우는 세율 변동이 전혀 없어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공시가격 변동이 있는 경우 외에는 재산세 부담이 크게 변동되지 않습니다.
  • 과세 형평성 제고를 위해 추진 중인 공시가격 현실화의 경우에도 대다수 국민들이 보유하고 있는 주택(시세 9억원 미만, 95.2%)은 공시가격 현실화 없이 시세변동분만을 반영하여 ‘20년 공시가격이 결정되었습니다.
  • 또한 급격한 세 부담 증가가 없도록 주택가액별로 세 부담 상한제도도 운영*하고 있으며, 추가로 장기보유 1주택 고령자에 대해서는 세 부담 상한 특례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우선 신규 등록주택(장기임대, 8→10년 임대의무기간 연장 예정)의 경우 임대보증금 보증가입 의무는 민특법 개정 즉시 적용될 예정입니다.
  • 특히 갭투자 통한 임대등록 근절 및 임차인의 피해예방을 위해 사업자의 신용도, 임대주택의 부채비율 등 재무상황이 열악한 경우 등록 불가하도록 추진할 예정입니다.
  • * (공시가격 3억원 이하) 전년도 재산세 대비 증가액 5% 이내,
       (공시가격 3∼6억원 이하) 10% 이내, (6억원 초과) 30% 이내

가격상승폭이 적은 A 주택의 경우 보유세 증가 부담이 크지 않은 반면 가격이 많이 상승한 B·C 주택의 경우 상대적으로 보유세 부담이 증가하며, 이는 고가주택에 대한 과세형평 측면에서 불가피한 것입니다.
< 1주택자 보유세(종부세, 재산세) 계산 사례 >
구 분 2019.6월 2020.6월 2021.6월
서울
A주택
시가 6.8억원 7.9억원 9.0억원
공시시가 4.8억원 5.5억원 6.3억원
보유세 재산세 1,040,640 1,144,704 1,483,344
종부세 - - -
합계
(전년비 %)
1,040,64 1,144,704
(10.0%)
1,483,344
(29.6%)

구 분 2019.6월 2020.6월 2021.6월
서울
B주택
시가 13.5억원 15.8억원 18.0억원
공시가격 9.4억원 11.0억원 13.5억원
보유세 종부세
공제 없음
재산세 2,746,380 3,336,000 4,266,000
종부세 110,058 561,600 2,152,800
합계
(전년비 %)
2,856,438 3,897,600
(36.4%)
6,418,800
(64.7%)
종부세
최대공제
재산세 2,746,380 3,336,000 4,266,000
종부세 33,017 168,480 430,560
합계
(전년비 %)
2,779,397 3,504,480
(26.1%)
4,696,560
(34.0%)

구 분 2019.6월 2020.6월 2021.6월
서울
C주택
시가 27.4억원 31.7억원 34.5억원
공시가격 20.6 23.7 27.6
보유세 종부세
공제 없음
재산세 6,888,600 8,071,560 9,511,200
종부세 6,073,560 9,813,744 19,477,440
합계
(전년비 %)
12,962,160 17,885,304
(38.0%)
28,988,640
(62.1%)
종부세
최대공제
재산세 6,888,600 8,071,560 9,511,200
종부세 1,822,068 2,944,123 3,895,488
합계
(전년비 %)
8,710,668 11,015,683
(26.5%)
13,406,688
(21.7%)

(양도시) 9억원 이하의 주택은 1주택자가 2년 이상 보유했을 경우 양도소득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9억원 이상의 주택이더라도 장기간 보유하고 거주한 경우에는 양도소득세 계산시 최대 80%까지 양도차익이 공제되기 때문에 실제로 발생하는 세 부담은 높지 않은 수준입니다.
< 1주택자 양도세 계산 사례 >
  취득 양도 양도차익·보유기간 양도세
경기도
A주택
‘15년 7억원 ’20년 8억원 양도차익 1억원
보유기간 5년
비과세
* 9억이하 1주택, 2년 이상 보유시 양도세 비과세
서울
B주택
‘09년 10억원 ‘20년 15억원 양도차익 5억원
보유기간 11년
454만원
* 9억이하분은 양도세 비과세, 9억초과분은 장기보유특별공제 80% 적용
서울
C주택
‘15년 15억원 ‘20년 20억원 양도차익 5억원
보유기간 5년
4,235만원
* 9억이하분은 양도세 비과세, 9억초과분은 장기보유특별공제 40% 적용

아울러, 정부는 무주택 실수요자에 대해서도 지원을 지속 강화해나가고 있습니다.

생애 첫 내 집 마련을 희망하는 실수요자를 위해 ‘생애최초 특별공급 물량’을 배정하고 있으며, 이번 대책으로 소득요건을 완화하고 민영주택에도 특별공급을 시행(분양 물량의 7~15%)하여 실수요자에 대한 주택 공급을 대폭 확대할 계획입니다.
신혼부부에 대해서도 신혼희망타운 15만호 공급, 주택 분양 시 신혼부부 특별공급(20~30%)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내 집 마련 부담을 덜어드리기 위해 연소득 9천만원 이하 가구의 생애 첫 주택 구입은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시 LTV, DTI를 10% 완화 적용하며, 디딤돌대출·보금자리론 등 정책 모기지를 통해 LTV 최대 70%까지 대출 이용이 가능합니다.

정부는 앞으로도 투기수요에 대해서는 엄중히 대응해나가되, 실수요자는 두텁게 보호하여 안정적인 주거여건이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공공누리
  •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 홍승희 사무관(☎ 044-201-4129)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