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동량 예측방법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담당자고진규
- 전화번호
- 등록일2010-11-23
- 조회19486
- 분류 > 항만건설
물동량 예측방법
‘08년 전국 항만물동량 예측방법
- 항만물동량 예측 흐름도
- 품목별 물동량 예측
- 품목 분류
- 항만 물동량은 32개 품목으로 분류하여 예측하고, 그 결과는 12개 전용부두의 개발수요 산정에 활용품목 분류 소분류(32) 전용부두 1 양 곡 양 곡 부 두 2 시멘트 시 멘 트 부 두 3 석 탄 석 탄 부 두 4 목 재 목 재 부 두 5 모 래 모 래 부 두 6 철광석 철 광 석 부 두 7 자동차 및 그 부품 자 동 차 부 두 8 고 철 고 철 부 두 9 철강 및 그 제품 철 재 부 두 10 유지류, 비료, 기타광석, 음류 및 주류, 어패·갑각류, 비철금속, 기계부품, 전기기기, 항공기·선박부품, 육류, 제분생산품, 기타 동식물성 생산품, 당류, 화학생산품, 플라스틱·고무류, 피혁류, 방직용 섬유, 기타 일 반 잡 화 부 두 11 컨테이너 화물 컨 테 이 너 부 두 12 원유 및 석유, 석유정제제품, 석유가스류 유 류 부 두 - 각 품목 별로 적합한 계량모형 도출
- 기본적 계량모형으로 통계분석에 의한 회귀모형 혹은 시계열모형 활용
- 특정 부문 또는 산업별 투자계획, 사업계획 등을 기초로 하는 미시적 방법과 추세적 변화, 거시경제지표 등을 변수로 하는 거시적 방법 병용
- 품목 특성 상 계량모형 사용이 곤란할 경우 관련 산업별 투자계획이나 사업계획, 관련연구소 및 협회, 그리고 정부의 공식계획안 등의 자료 활용
- 품목별 예측 예시(양곡)
- 품목 분류
-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
- 수출입 및 연안 컨테이너
- - 수출입 적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체 수출(입)화물 물동량 중 컨테이너화 가능 화물을 분류한 후 여기에 컨테이너화율 추세를 적용하여 산정
- - 수출입 空 컨테이너 물동량은 컨테이너 수출화물과 수입화물의 불균형 예측치를 기초로 추정(수출용 공컨테이너는 미고려)
- - 연안 컨물동량은 수출입 대비 연안 컨물동량의 비율 추세를 기초로 추정
- 환적 컨테이너
- 단기적으로(~‘11년)는 중국 및 미국 컨물동량, 한·중·일간 수출입컨물동량 등을 변수로 한 추세함수로 추정(5개의 모형 추정치의 평균을 활용)
- < 우리나라 컨테이너 환적물동량 전망(2011년까지) >
우리나라 컨테이너 환적물동량 전망(2011년까지) 모형번호 추정식 결정계수(R2) 1 TSKOR = -409.857 + 0.078CHNCNTR
(-5.682)** (25.565)**0.978 2 TSKOR = -933.983 + 0.061NEACNTR
(-7.762)** (18.633)**0.959 3 TSKOR = -792.93 + 0.097NEACNTR - 142.279T
(-16.302)** (24.508)**(-9.483)**0.994 4 TSKOR = -696.812 + 0.093CHJPCNTR + 0.048USACNTR - 141.972T
(-2.633) (17.118) (1.409) (-5.806)0.994 5 TSKOR = -676.854 + 0.063CHJPCNTR
(-6.728) (18.556)0.948 주 : 1) TSKOR: 한국 컨테이너 환적물동량(천TEU) 2) CHNCNTR: 중국 컨테이너 항만물동량(천TEU)
3) NEACNTR: 한·중·일 수출입 컨테이너물동량(천TEU) 4) CHJPCNTR: 중·일 수출입 컨테이너물동량(천TEU)
5) USACNTR: 미국 컨테이너 항만물동량(천TEU) 6) T: 시간변수로서 1986=1, 1987=2, 1988=3, ----
7) 내의 수치는 t-통계량을 나타내며, **는 1%의 유의수준에서, *는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 - 장기적(‘11~’20)으로는 주요 경제지표 대신 시간변수(T)를 설명변수로 하고 선형함수 대신 2차함수(증가세 둔화 반영)를 이용하여 추정
- * 환적화물 예측은 상당히 고난이도의 작업이며, 환적 자체의 역사가 짧아 축적된 데이터도 많지 않은 관계로 지속적으로 검증하여 최신화하는 작업 필요
- 수출입 및 연안 컨테이너
-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비교(수요예측센터 VS. KDI)
-
(단위 : 천TEU)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비교 구 분 ’08 수요예측센터(A) ’08KDI(B) A-B A-B 2011년 수출입 14,536 13,863 1,204 673 연안 157 238 -81 -81 환적 8,506 8,506 0 0 계 23,199 22,607 1,123(5.1) 592(2.6) 2015년 수출입 18,430 16,400 2,349 2,030 연안 184 238 -54 -54 환적 10,976 10,976 0 0 계 29,590 27,614 2,295(8.4) 1,976(7.2) 2020년 수출입 23,861 19,935 3,817 3,926 연안 218 238 -20 -20 환적 14,676 14,676 0 0 계 38,755 34,849 3,797(10.9) 3,906(11.2) - * 괄호 안은 수요예측센터 예측대비 차이 비율 : (A-B)/A
* 「’08 KDI」는 ’07실적을 반영한 KDI 예측치 - 비컨테이너 물동량 예측비교(수요예측센터 VS. KDI)
-
(단위:백만원)
비컨테이너 물동량 예측비교 구 분 2011 2015 2020 KDI(’07) 센 터 KDI(’07) 센 터 KDI(’07) 센 터 물동량 857 876 929 939 1,017 1,008 차이 19 10 △9 오차율 2.2% 1.1% △0.9% - * 물동량에는 유류물동량까지 포함된 수치
* 비컨테이너 물동량에 대한 KDI의 ‘08년 예측치는 현재 미도출 - 항만별 물동량 추정 (항별 배분, 개발수요 예측)
<과거의 배분방법>
- 수출입 비컨테이너 배분
- - 비컨테이너 물동량(석탄, 철광석, 고철, 시멘트 등)의 경우 전용부두에서 처리되는 대량화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대부분 일정한 권역 내에서 발생
- - 따라서, 항별 O/D를 근거로 직·간접배후권역을 설정하여 동 권역내에서의 물동량 발생요인(산업단지 개발, 기업체 이주·이전)을 분석, 활용
- - 이러한 추정된 항별의 예측치의 합계가 전국단위의 품목별 예측치의 합계와 수렴할 때까지 반복적인 비교를 통해 교차검정 시행
- 수출입 컨테이너 배분
- - 국내 9대 권역별 컨테이너 물동량 O/D 분석
- - 세계 3대 항로별 컨테이너 O/D 분석(2004년~2020년)
- · 1차 원양항로 : 북미와 구주 등 동서항로 (56.4%~47.0%)
- · 2차 원양항로 : 남미, 호주, 아프리카 등 남북항로(3.5%~7.0%)
- · 근해항로 : 중국, 일본, 동남아 등 아시아 역내항로 (40.1%~48.0%)
- - 항만별 배분비율에 따라 항로별 권역별 컨테이너물동량을 각 항만에 배분
<항만수요예측센터 배분방법>
- OSC 배분방법을 기본으로 하되, 최근의 실적을 적절히 반영
- 수출입물동량은 (부산항,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 그리고 기타 지역항만으로 구분하여 적용
- 환적물동량은 부산, 광양항과 그 외 9개항으로 구분하여 예측
- 연안의 경우는 모든 항만에 대해 ’06년 항만기본계획 배분율 수용
* 항만별 배분방법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장기과제로서 연구검토 예정
- 수출입 비컨테이너 배분
'물동량예측' 관련 게시물
-
| 항만건설 2010-11-23
-
| 항만건설 201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