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수요예측센터 개요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담당자고진규
- 전화번호
- 등록일2010-11-23
- 조회23057
- 분류 > 항만건설
항만수요예측센터 개요
항만수요예측센터 설립 및 운영 현황
- 항만수요예측센터 설립 및 운영계획 장관재가 (‘06. 6.)
- 항만수요예측센터 설립(KMI 내) (‘06. 7.)
- 항만수요예측센터 운영 위탁용역 (‘07.2.~’07.12)
- 물동량 예측 등 센터의 기본업무 연구
- 항만물동량 예측시스템 구축 기반조성 연구용역 (‘07.5.~’08.1)
- 항만물동량 통계 검토, 산단-항만물동량 간 상관관계 조사, 트리거룰 적용계획 등
- TR 추진방안 마련을 위한 세미나 및 워크샵 개최
- 항만수요예측센터 세미나(2회) : 2007. 5월, 9월
- 트리거룰 워크샵(2회) : 2007. 5월, 6월
- TR 추진방안 확정(장관방침) : 2007. 10.
- TR 개념 정립, 적용 대상 및 절차 등 구체화
- 항만수요검토위원회 구성 : 2007. 10.
- * 센터 연구성과에 대한 자문기구(기재부, KDI, KOTI, 학계 및 업계전문가)
- 2008년 항만수요예측센터 운영 위탁용역 (‘08.2.~’09.1)
- 항만물동량 모니터링 및 분석, 물동량 예측 및 항만개발규모 검토, 환적화물 예측 기법 연구, 시스템 구축등 물동량에 영향 미치는 주요 사업 검토
- 지방청 관계자 대상 TR 실무교육(1, 2차) : 2008. 1월, 4월
항만수요예측센터 주요업무
- 총 괄
- 세부업무
-
항만수요예측센터 세부업무 구 분 주요 내용 비 고 DB 구축및연계 항만 및 기종점 DB ·항만별(국내외), 품목별 물동량 DB 구축
·해외항만 DB(주요항만의 실적, 시설·제도변화, 인센티브 등)
·수출입화물의 품목별 기종점 DB, 이동경로 및 트렌드 분석
·환적화물의 이동경로 및 트렌드 분석SP-IDC, KLIC 등과 연계 예정 선대 DB ·국내 주요항만에 기항하는 정기컨테이너선에 대한 선사별 서비스 및 기항지 조사를 통해 컨테이너화물의 수송 네트워크 파악
·정기컨테이너선사의 선복량 및 투입선박 현황 파악산단 및 기타 DB ·산업단지 DB 구축(단지별 입주업체수, 가동율, 수출액, 생산량 등)
·산업·경제 DB 연계(주요 지표와 물동량과의 관계 분석)
·기타 물동량 예측에 필요한 자료 수집 및 변수 발굴 등항만물동량 모니터링 및 변화요인 분석 ·물동량 추이별로 주요 변화요인 분석 및 정책 제안
- 국내외 주요 영향요인 및 사건에 대한 검토
- 특히, 대규모 변화 발생시 신속한 대응책 제언예측 및 배분시스템 구축 ·항만별, 품목별 물동량 재산정 및 단기 예측
·실적 및 예측물동량 비교를 통한 물동량 증감원인 분석
·환적물동량 예측기법 개발
·단기 예측을 위한 물동량 실사지수 개발실사지수 : 전문가 등 설문조사 통한 전망지수 트리거룰 적용방안 마련 ·트리거룰 적용대상 및 세부 적용방안 마련
·민자사업 적용방안 연구
·트리거룰 적용 시스템 개발정보동향 시스템 구축 ·국내 주요 항만동향, 선사, 운영사 동향 모니터링
·유관기업 및 경쟁항만의 정보·동향조사(설문조사, 인터뷰 등)를 통해 유치전략 수립 및 항만마케팅 등에 활용KMI 정책동향 연구실과 연계
항만수요예측센터 로드맵
- 단계적인 정비를 거쳐 ‘09년 이후 본격 가동 목표
- * 2009년 이후 예산은 센터의 정규직화를 고려하지 않은 추정사업비로서 향후 정규직 전환여부에 따라 조정 가능
'물동량예측' 관련 게시물
-
| 항만건설 2010-11-23
-
| 항만건설 2010-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