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차량의 제작검사에 대해서 알고 싶어요.
- 담당부서철도기술안전과
- 담당자조미라
- 전화번호02-2110-8817
- 등록일2011-10-17
- 조회6705
- 분류교통물류
Q1 | 철도차량의 제작검사란 무엇인지요? |
|
![]() * 차량제작자등이란 철도차량을 제작하거나 조립 또는 수입하고자 하는 자 모두를 총칭(總稱)하는 용어입니다. |
Q2 | 철도차량의 제작검사는 국토해양부에서 직접 실시하나요? |
|
![]() * 제작검사기관(2개) : (사)한국철도차량엔지니어링, 케이알이엔씨(주) |
Q3 | 철도차량의 제작검사 신청은 누가? 언제 해야 하나요?? |
|
![]() |
Q4 | 모든 철도차량이 제작검사를 받아야 하나요? |
|
![]() - 시험ㆍ연구 목적으로 제작ㆍ조립된 철도차량 - 수출을 목적으로 제작ㆍ조립 또는 수입한 철도차량 - 선로유지보수 또는 사고복구 등의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철도차량으로 국토해양부장관이 고시하는 철도차량 - 인증품이 설치된 철도차량(철도용품이 설치된 부분에 한함) |
Q5 | 철도차량 제작검사는 어떤 절차로 이루지고 있나요? |
|
![]() ![]() - 기술검토란 철도차량 및 부품의 제작착수 전에 시행하는 제작검사의 방법 및 검사기준 등의 기술적 사항에 대한 서류검토를 말합니다. - 입고검사란 국내ㆍ외에서 제작되는 철도차량 및 부품에 대하여 차량의 제작ㆍ조립공정에 투입하기 전에 재료의 적정성과 특성 및 부품의 기능과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는 검사로서, 검사시점 및 장소별로 구분하여 시행하는 부품제작검사를 말합니다. - 공정검사란 철도차량 및 부품의 시험 및 검사공정을 진행하고 있는 제작자의 공장에서 입회점 및 정지점에 대한 검사 또는 시험항목을 입회 확인하는 검사를 말합니다. - 최종검사란 제작 완료한 철도차량을 공장에서 출고하기 전에 요구되는 검사 및 시험이 만족스럽게 실시되었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검사를 말합니다. ![]() |
Q6 | 철도차량 제작검사기관의 지정기준은 무엇이며, 지정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
|
![]() - 제작검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상설의 전담조직을 갖출 것 - 제작검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을 확보할 것 - 제작검사기관의 운영 등에 관한 업무규정을 갖출 것 - 지정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철도안전법 제36조제7항에 따라서 제작검사기관의 지정취소를 받은 사실이 없을 것 - 제작검사 외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 그 업무를 행함으로써 제작검사 업무가 불공정하게 수행될 우려가 없을 것 * 제작검사기관의 세부 지정기준은 「철도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19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지정신청을 받은 경우 국토해양부장관은 지정기준을 갖추었는지 여부, 제작검사기관의 운영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한 후 그 지정여부를 결정합니다. - 심사결과 지정기준에 적합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신청인에게 철도차량제작검사기관지정서를 교부하고 있습니다. - 제작검사기관의 지정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 |
Q7 | 철도차량 제작검사를 받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