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관소개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모바일 메뉴 닫기
통합검색
사이트맵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영구임대주택의 표준임대보증금 및 표준임대료 고시

  

국토해양부 고시 제 2009 - 679호


「영구임대주택의 표준임대보증금 및 표준임대료」고시


 「임대주택법」 제20조 및 동법 시행령 제21조에 따라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31조에 따른 영구임대주택에 적용하는 「영구임대주택의 표준임대보증금 및 표준임대료」를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09년  8월  24일


국토해양부장관


 1. 적용범위


   이 고시는 「임대주택법」 제20조 및 동법 시행령 제21조에 의거하여 임대주택법 제16조 및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31조를 적용받는 영구임대주택에 대하여 적용한다.


 2. 표준임대보증금 및 표준임대료


  가. 법정영세민(「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31조제1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단위 : 원/㎡)

  

구 분

급지기준

표준임대보증금

표준임대료

1급지

서울특별시

78,654

1,568

2급지

광역시 및 수도권

74,591

1,487

3급지

인구 30만 이상 도시, 도청소재지

70,694

1,409

4급지

기타지역

67,103

1,339


  나. 청약저축가입자등으로서 입주한 자


    1) 표준임대보증금

       당해 주택가격(「임대주택법」 시행규칙 제9조 【별표1】에 따라 산출한 “최초입주자모집당시의 주택가격”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100분의 20에 해당하는 금액


    2) 표준임대료

       표준임대료는 당해 주택가격의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금액에 「은행법」에 따른 금융기관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이자율(이하 “정기예금이율”이라 한다)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과 감가상각비, 수선유지비, 화재보험료, 대손충당금 및 국민주택기금이자를 합한 금액으로 하며 각 항목별 산출기준 다음과 같다.

      가) 감가상각비 : 건물내용년수 50년, 잔존가액 10%, 정액법 적용하여 산출한 금액

      나) 수선유지비 : 건축비의 1,000분의 5

      다) 화재보험료(재해보험료) 및 기금이자 : 실제 지급금액

      라) 대손충당금 : 감가상각비, 수선유지비, 화재보험료 및 국민주택기금이자를 합한 금액의 1%


 3.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의 할증


  가. 법정영세민이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법정영세민에서 제외된 후에도 계속 당해 임대주택에 거주를 희망하는 경우에는 다음 방법에 따라 표준임대보증금 및 표준임대료를 부과한다.


   1) 최초 계약시 : 계약당시 법정영세민에게 적용하는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에 차등부과금액의 30%에 해당하는 금액을 합한 금액

   2) 1차 재계약시 : 계약당시 법정영세민에게 적용하는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에 차등부과금액의 60%에 해당하는 금액을 합한 금액

   3) 2차 재계약시 : 계약당시 청약저축가입자등으로 입주한 자가 적용받는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

  

  나. “차등부과금액”이라 함은 계약시점에서 청약저축가입등으로서 입주한 자가 적용받는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에서 법정영세민에게 적용하는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를 차감한 금액을 말한다.

  다. 청약저축가입자등으로 입주한 자에게 적용되는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를 적용받는 임차인(단,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제31조제1항제1호 부터 제8호까지 중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선정된 경우는 제외한다)은 2년 단위 갱신계약시마다 이전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에서 20%씩 증액한다. 다만, 인근지역의 국민임대주택의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를 상회하는 경우에는 주거비 물가지수와 인근지역의 전세가격 변동률을 고려하여 「주택임대차보호법」에서 정하는 범위 내에서 증액한다.


 4. 임대보증금과 임대료의 상호전환


   임대보증금과 임대료는 임대차 계약 시 임차인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는 상호 전환이 가능하며, 이 경우 전환금액에 대한 금리는 전환 당시의 정기예금이율을 적용한다.


 5. 임대보증금과 임대료의 증액제한


  가. 임대보증금 및 임대료는 임대차 계약기간 이내에는 이 고시에 의하여 결정된 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에서 정한 차임 등의 증액청구 비율을 초과하여 증액할 수 없다.


  나. 가목에 따른 증액청구는 임대차계약 또는 약정한 차임 등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한다.


 6. 재검토 기한

   이 고시는 「훈령․예규 등의 발령 및 관리에 관한 규정」(대통령훈령 제248호)에 따라 이 훈령 발령 후의 법령이나 현실여건의 변화 등을 검토하여 이 고시의 폐지, 개정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하는 기한은 2012년 8월 23일로 한다.





부     칙


  1 이 고시는 2009년 8월 24일부터 시행한다.

  2. 이 고시는 시행일 이후 최초로 입주자를 모집하는 영구임대주택부터 적용한다

  3. 이 고시의 시행과 동시에 건설부 고시 제568호(1990.9.1) 및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7-576호(2007.12.12)는 폐지한다.

  4. 이 고시 시행당시 종전규정에 의하여 입주자모집공고 승인을 받은 주택에 대해서는 종전의 규정을 따른다.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