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관소개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모바일 메뉴 닫기
통합검색
사이트맵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강화플라스틱(FRP)선의 구조기준 개정 고시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888호


 「강화플라스틱(FRP)선의 구조기준」〔국토해양부고시 제2009-919호(2009. 9. 21)〕을 다음과 같이 개정․고시합니다.


2011년  12월  28일

국토해양부장관


「강화플라스틱(FRP)선의 구조기준」일부개정안


「강화플라스틱(FRP)선의 구조기준」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21호부터 제23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21. “활주정(滑走艇)”이란 고속항해로 인하여 발생하는 물의 동적압력(動的壓力)을 이용하여 선체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물의 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빠른 속도록 운항할 수 있는 속장비(v/)가 9.0이상인 선박을 말한다.

 22. “비활주정”이란 활주정 외의 선박을 말한다.

 23. “로드셀(Loadcell)”이란 힘이나 하중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측정하기 위한 변환 게이지를 말한다.

제5조제2항의 “선박의 선체강도”를 “선박과 「선박안전법 시행규칙」별표7 제1호 가목 4)에 따라 강도계산서를 제출하는 선박길이 12미터 미만 선박의 선체강도는”으로 한다. <개정 2011. 12. 00>

별표7 본문의 “플레저 보트의 선체구조 강도는”을 “플레저 보트와 「선박안전법 시행규칙」 별표 7 제1호 가목 4)에 따라 강도계산서를 제출하는 선박길이 12미터 미만 선박의 선체강도는”으로 한다.

별표 7의 제3호 및 제4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3. 등분포하중에 의한 종굽힘 시험방법 및 성적서

 가. 시험방법

   1) 활주정, 비활주정 판정

        계획최대속력(V)        knot

        선박 길이(L)        m

        V/=      /=       

       활주정 : V/ ≥ 9.0

       비활주정 : V/ < 9.0

   2) 지점간 거리의 산정

       =0.6×L=0.6 ×       = ____ m

   3) 하중 산정

경하상태(kg)

만재상태(kg)

선체 중량

 

최대탑재인원 중량

 

기관 중량

 

연료유 중량

 

축계 중량

 

기타 항해에 필요한 물건중량

 

축전지 중량

 

화물 중량

 

기타 중량

 

경하상태 중량

 

합계

 

합계 

 

   

   4) 시험하중의 산정

      W=k×(만재상태-경하상태)

        =       ×(       -       )

        =       

       이 산식에서 계수 k는 활주정일 경우 1.25, 비활주정일 경우 1.00으로 한다.

   5) 변형량 허용범위 산정

      지점간거리()      

     가) 킬 변형량

          /500=      /500=     ㎜이하

     나) 폭의 변형량

          /250=      /250=     ㎜이하

     다) 깊이의 변형량

          /500=      /500=      ㎜이하

   6) 변형량 측정방법

     가) 계측기구(다이얼 게이지)의 셋트 위치

                

     나) 하중의 배치 방법

       (1) 하중은 중량이 명확한 철, 콘크리트 블록, 모래부대 등으로 하고, 한 개 한 개 의 중량을 계측한다.

       (2) 하중은 지점간()에 등분포하중이 되도록 상갑판 또는 플로어 위에 싣는다. (편하중이 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

       (3) 시험 시, 기관 그 외 경하상태에 산입 될  만한 기기가 미탑재 되었을 때는 그 중량에 상당하는 대체하중을 그 장소에 탑재한다.

       (4) 하중을 선저에 싣는 경우는 A, B 및 C의 다이얼 게이지가 접촉된 용골위에 직접 싣지 않도록 늑골간에 판을 놓은 위에다 실을 것

    다) 계측의 시기

       다음의 3회로 한다.

      (1) 하중을 거는 직전

      (2) 하중을 걸고 5분 후

      (3) 하중을 빼고 3분 후

 나. 종굽힘시험성적표 작성등

     선박검사원은 다음의 등분포하중에 따른 종굽힘시험성적표에 측정결과를 기록하고, 실측치가 허용범위 이내인지에 따라 강도의 적합여부를 판정한다.

 

등분포하중에 따른 종굽힘시험성적표

선명(선박번호)

 

시험년월일

     년  월   일

시험장소

 

담당검사원

 

규정하중

           ㎏

규정지점간거리

              m 

시험하중

           ㎏

시험지점간거리

              m 

  

 1) 계측기록

 게이지

위치

무하중시 처침량 

(가)

하중을 싣고 5분후 처짐량  (나)

변형량 (나)-(가)

하중을 빼고 3분후 처짐량

A

 

 

 

 

B

 

 

 

 

C

 

 

 

 

D

 

 

 

 

E

 

 

 

 

F

 

 

 

 

G

 

 

 

 

* 다이알게이지 위치

  

2) 변형량 등의 계산

  (1) 킬의 변형

      B-1/2(A+C)=     

  (2) 폭의 변형량

      D+E=     

  (3) 깊이의 변형량

      B+1/2(F+G)=       


다. 판정

구 분

허용범위

실측치

판정

비고

킬 변형량

           ㎜

             ㎜

 

 

폭의 변형량

           ㎜

             ㎜

 

 

깊이의 변형량

           ㎜

             ㎜

 

 



4. 로드셀에 의한 종굽힘시험방법 및 동 성적서

 가. 시험방법

   1) 활주정, 비활주정의 판정

      계획최대속력(V)       knot

      선박 길이(L)         m

      V/=      /=       

       활주정 : V/ ≥ 9.0

       비활주정 : V/ < 9.0

   2) 지점간 거리의 산정

       =0.6×L=0.6×       =       m

   3) 하중 산정

경하상태(kg)

만재상태(kg)

선체 중량

 

최대탑재인원 중량

 

기관 중량

 

연료유 중량

 

축계 중량

 

기타 항해에 필요한 물건중량

 

축전지 중량

 

화물 중량

 

기타 중량

 

경하상태 중량

 

합계

 

합계 

 

  

   4) 시험하중의 산정

      W=k×(만재상태-경하상태)×0.625

        =     ×(      -      )×0.625

        =      

       이 산식에서 계수 k는 활주정일 경우 1.25, 비활주정일 경우 1.00으로 한다.

   5) 변형량 허용범위 산정

      지점간 거리()     

     가) 킬 변형량

         /500=      /500=      ㎜이하

     나) 폭의 변형량

         /250=      /250=      ㎜이하

     다) 깊이의 변형량

         /500=      /500=      ㎜이하

   6) 변형량 측정방법

     가) 계측기구(다이얼게이지)의 셋트 위치

       다음 그림과 같이 다이알게이지를 설치하되, 중앙부의 다이알게이지는 중앙 로드셀 옆에 설치하고, 나머지 다이알게이지는 등분포하중에 의한 종굽힘 시험과 동일한 위치에 설치한다.

     나) 하중 부과 방법

       (1) 시험시 기관 이외의 경하상태에 산입하여야 하는 기기가 미탑재 되어 있을 때에는 그 중량에 상당하는 대체하중을 해당 장소에 탑재한다.

       (2) 유압잭으로 선체를 들어 올림과 동시에 로드셀에 걸리는 시험하중 값을 로드셀 표시기로 확인하면서 선체에 하중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서서히 가한다.

       (3) 용골부분에 국부적인 힘이 걸리지 않도록 두꺼운 철판 등을 선체와 로드셀 사이에 넣어 선체 전체에 힘이 고르게 가해지도록 주의한다. 특히  선체 중심이 뒤쪽에 위치한 선박의 경우에는 시험시 선체가 들리지 않도록 중심위치에 로드셀과 유압잭을 설치하여 시험을 한다.


     다) 계측방법

       (1) 계측순서 : 다음 번호의 순서에 따라 계측한다.

     

구 분

하중상태

무하중상태

시험순서

-

   

         (가) 하중상태로 한다.

         (나) 다이얼게이지를 읽는다.

         (다) 무하중상태로 한다.

         (라) 다이얼게이지를 읽는다.

       (2) 하중, 무하 중 상태에서 다이얼게이지를 읽을 때까지의 시간은 5분간으로 한다.

       (3) (가)에서 (라)의 과정을 3회 반복한다.

       (4) ④번 시험을 종료한 후 선체가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도록 30분간 무하중상태로 방치한다.

  나. 종굽힘시험성적표 작성등

     선박검사원은 다음의 로드셀에 따른 종굽힘시험성적표 측정결과를 기록하고, 실측치가 허용범위 이내인지에 따라 강도의 적합여부를 판정한다.




 

로드셀에 따른 종굽힘시험성적표

 

선명(선박번호)

 

시험년월일

            년  월   일

시험장소

 

담당검사원

 

규정하중

           ㎏

규정지점간거리

              m 

시험하중

           ㎏

시험지점간거리

              m 

  

1) 계측기록

구 분

  제1회째

  제2회째

크립

제3회째

최대

하중

무하중

하중

무하중

무하중

하중

무하중

 

A

 

 

 

 

 

 

 

 

 

 

 

 

B

 

 

 

 

 

 

 

 

 

 

 

 

C

 

 

 

 

 

 

 

 

 

 

 

 

D

 

 

 

 

 

 

 

 

 

 

 

 

E

 

 

 

 

 

 

 

 

 

 

 

 

F

 

 

 

 

 

 

 

 

 

 

 

 

G

 

 

 

 

 

 

 

 

 

 

 

 

  

2) 변형량 등의 계산

       

 

 

     a=     m   b=      m

     =     m   1=     m   2=      m

    B의 다이얼게이지가 유압잭보다도 선수측에 있는 경우는 이하의 산식 중 4a2인 것은 4b1으로 대신하여 적용할 것.

    가) 킬 변형

        d1 = B-1/2(A+C) = ______-1/2(____+____) =______mm

         

    나) 폭의 변형량

         d2 = D+E= ________+_______=_______mm

         

    다) 깊이의 변형량

         d3 = B+1/2(F+G) = ________+1/2(______+______) =______mm

          

3) 판정

 

허용범위

실측치

판정

비고

킬 변형량

                    ㎜

                    ㎜

 

 

폭의 변형량

                    ㎜

                    ㎜

 

 

깊이의 변형량

                    ㎜

                    ㎜

 

 


부칙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부칙 <2011. 12. 28>

이 기준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