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관소개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모바일 메뉴 닫기
통합검색
사이트맵

행정규칙(훈령·예규·고시)

건설기계 제작결함조사요령 등에 관한 규정 제정

1. 목적

 

설기계관리법 개정(‘11.9.16)에 따라 제작결함시정(리콜)에 필요한 조사기관 지정, 심사평가위원회 운영, 예비․본조사 및 제작결함조사 결과 등 세부사항을 정하여 「건설기계 제작결함조사요령」을 고시(훈령)하고자 함

 

※ 건설기계관리법 제20조의2(제작결함시정) : 건설기계 안전기준 부적합, 안전운행 또는 안전작업에 지장이 있는 경우

 

<개정작업 주요 추진경과>

 

‘12.11~’13. 2 : 건설기계 제작결함조사요령 등에 관한규정 협의

․ ‘13. 3.14~19 : 내․외부전문가 의견 수렴 및 간담회 개최

․ ‘13. 3.21 : 고시 개정에 대한 변호사 자문

․ ‘13. 5. 7 : 국무총리실 사전규제심사(미 규제)

․ ‘13. 5.10 : 규제개혁법무담당관실 검토

 

2. 제정(안) 주요내용

 

□ 조사기관 및 위원회 운영에 관한 사항

 

건설기계 제작결함조사기관 인력․시설․장비기준, 지정 절차 및 업무범위를 정함(안 제3조)

 

* (인력) 형식승인 및 자동차제작결함 경력 5년이상인 자 및 국가자격법에 의한 건설기계 또는 정비산업기사 이상인 자 2인이상

(시설․장비) 직선주행로, 저마찰로, 엔진동력계, 견인력시험기, 속도시험기 등

 

시설․장비, 조사인력 등 공신력이 확보된 교통안전공단을 지정(‘13. 4.15)

 

제작결함의 효율적인 운영 및 객관성 확보를 위해 국토교통부에 건설기계 제작결함심사평가위원회를 설치하도록 함(안 제4조)

 

* 당연직 및 위촉직 위원을 포함한 15인 이내로 구성

 

ㅇ 제작결함조사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건설기계 결함정보 전산망을 설치․운영하고, 분석하도록 함(안 제5조 및 제6조)

 

ㅇ 조사기관은 제작결함조사 및 제작동일성조사 등에 대한 기술적인 분석을 위해 결함기술분석위원회를 운영하도록 함(안 제20조)

 

□ 제작결함조사 절차에 관한 사항

 

제작결함조사 계획을 수립 후 조사를 시행하도록 함(안 제7조)

 

예비조사 및 본조사 시행 방법을 정하고, 시정조치 계획을 국토부 및 조사기관에 제출하도록 함(안 제9조 및 10조)

 

예비조사 및 본조사를 수행한 경우 제작결함조사 결과를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도록 함(안 제11조)

 

□ 제작동일성조사 절차에 관한 사항

 

ㅇ 조사기관은 제작동일성조사의 연간계획을 수립하여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제출하도록 함(안 제12조)

 

ㅇ 제작동일성조사는 확인검사 방법에 따르도록 하고, 건설기계는 무작위로 선정하며, 근거자료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함(안 제13조 및 제14조)

 

조사결과 안전기준에 부적합하거나 형식승인․신고 또는 확인검사와 다르게 제작한 경우 국토교통부장관에게 보고하도록 함(안 제15조)

 

□ 제작결함시정 절차에 관한 사항

 

예비조사, 본조사 및 동일성조사 결과 제작결함이 발견된 경우 시정대상 범위 및 대수를 결정하도록 함(안 제17조)

 

건설기계 제작결함 시정시 필요한 신문공고 및 건설기계․부품을 구매한 경우에 시험 결과물 처리에 대한 규정을 정함(안 제18조 및 제19조)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