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관소개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모바일 메뉴 닫기
통합검색
사이트맵

공지사항

추석명절 재난발생 시 국민행동요령

□ 재난유형별 안전관리

☞ 즐거운 추석명절 안전에서부터


< 안전사고 발생 시 이렇게 >

사고가 발생하면 침착하고 질서 있게 행동합시다.

1. 지하철 화재 발생 시
노약자․장애인석 옆에 있는 비상버튼을 눌러 승무원과 연락
객차마다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 진화
출입문이 열리지 않으면 비상용 망치나 소화기를 이용하여 유리창을 깸
코와 입을 손수건이나 티슈로 막고 신속히 대피
정전 시에는 유도등, 시각장애인용 보도블록을 따라 대피

2. 항공기 사고 발생 시
승무원의 안내에 따름
산소마스크가 내려올 경우 보호자가 먼저 착용하고 어린이나 노약자를 도와주기
안전벨트 착용 후 부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자세 취하기

3. 여객선 재난 발생 시
소화기, 비상망치, 구명조끼, 유사시 탈출로를 미리 확인
승무원의 안내에 따라 침착하게 탈출
화재가 발생하면 큰소리로 외치거나 경보기를 울려 주변사람에게 신속히 알리기

4.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불이야”라고 소리쳐 주위 사람들에게 알리기
미리 파악해둔 비상구나 계단을 이용하여 신속히 대피
주소와 주변 큰 건물의 이름 등으로 119 신고
수건 등을 물에 적셔 입과 코를 가리고 숨을 짧게 쉬면서 낮은 자세로 신속히 대피
계단이나 복도로 피난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베란다 등으로 가서 구조 요청
승강기는 정전으로 멈추거나 질식할 우려가 있으므로 비상계단이나 완강기 이용
대피시 계단실의 방화문을 꼭 닫고 대피
비상구 등 안전시설을 갖추고 있는 업소만 이용하여 업주 스스로 안전시설을 확보하도록 합시다.

비상구 등 대피가 용이한 곳을 언제나 미리 확인해 둡시다.


< 멀리 떠날 때, 우리 집 안전관리 >

집을 나설 때, 비워둔 집으로 다시 들어갈 때는 꼼꼼히 살펴봅시다.

1. 집을 나서기 전
가스밸브와 잠금장치 확인
비눗방울을 이용 가스가 새는지 사전점검
불필요한 플러그나 콘센트, 전기코드 뽑았는지 확인

2. 집에 돌아와서는
가스 냄새가 나는지 확인
창문을 열어 충분히 환기

3. 우리 집 방범
대문(현관문), 창문 등 모든 출입문 문단속 철저
신문, 우유 등 배달되는 것들은 연휴기간 잠시 중단


< 귀성운전 휴식은 자주자주 >

양보와 여유 있는 운전이 생명과 재산을 지킵니다!

1. 출발 전 안전점검은 필수
TV, 라디오 등 방송을 통해 교통상황을 확인
예비용 타이어, 삼각대, 휴대공구 등 기본 상비품 확인

2. 교통사고 발생 시 응급조치
119나 병원, 보험회사에 신속히 연락
부상자를 구출 후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여 응급처치
심한 부상자는 함부로 움직이지 말고 신고

3. 교통법규를 준수하며 운전은 편안하게
운전 중에는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휴대폰 사용 금지
2시간마다 10분 정도 휴식, 휴식 중에는 스트레칭
자동차의 실내 공기를 자주 환기


< 건강한 명절나기 >

생체 리듬을 유지해 건강한 명절을 보냅시다.

1. 적당한 휴식과 음식
상한 음식으로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물과 이온음료를 충분히 마셔 탈수를 예방
3~4일 이상 고열이 나면서 설사가 지속될 경우 이질 일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치료

2. 화상을 입은 경우
깨끗한 찬물로 환부를 충분히 식힘
통증이 가시면 화상연고 바름
물집이 생겼을 때는 터트리지 말고 소독한 천으로 두껍게 감쌈
화상 정도가 심하고 얼굴에 외상을 입었을 경우 즉시 병원에서 치료

3. 생체 리듬 유지
밤에 무리 했더라도 기상시간은 지키고 토막잠으로 보충
연휴 마지막 날 일상으로 미리 귀가하여 편안한 휴식 취하기


< 성인심폐 소생술 >

1. 심정지 확인 및 119신고(자동제세동기 요청)
환자의 어깨를 가볍게 두드리며 “괜찮으세요?”라고 여쭤보세요.
주변 사람에게 큰소리로 119에 전화해달라고 부탁하고 자동제세동기 요청, 주변에 아무도 없으면 직접 119에 신고합시다.

2. 압박위치
손꿈치 중앙을 양쪽 젖꼭지 사이의 흉부의 정중앙에 놓고 손가락이 늑골이 닿지 않도록 합시다.
다른 손으로 나머지 손을 덮어주세요.

3. 압박방법
팔을 쭉 펴고 수직으로 분당 최소 100회 속도 및 최소 5cm깊이로 환자 가슴을 눌러 준 다음 힘을 뺍니다.

4. 가슴압박 30회 시행
분당 최소 100회의 속도로 30회 흉부를 압박합시다.
흉부압박 때 환자 가슴에서 양손을 떼지 않는다.
※ ‘하나, 둘, 셋~서른’하고 세어가면서 시행하며, 압박된 가슴은 완전히 이관되도록 함.

5. 기도유지
머리를 뒤로 젖히고 턱을 위로 들어 올려 기도를 연다.

6. 인공호흡 2회 시행
환자의 코를 막고 입속으로 두 번 불어주세요. 이때 환자가슴이 올라와야 기도로 호흡이 들어간 것입니다.
※ 구조자가 인공호흡을 모르거나 능숙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공호흡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가슴압박만을 시행(가슴압박 소생술)

7.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반복
30회의 가슴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119구급대원이 도착할 때까지 반복해서 시행하세요.
구조자가 두 사람인 경우에는 30:2로 1인은 흉부압박을 하고 다른 1인은 인공호흡을 합니다.
5주기마다(매 2분마다) 교대하여 실시합니다.
※ 흉부 압박 시 중단 시간이 10초미만이 되도록 함.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