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친환경 대용량 2층 전기버스 보급 지원사업 개요

사업 개요
  • (목적) 광역버스는 운행 특성상 출퇴근 시간에 수요집중되어 혼잡, 무정차 통과, 장시간 대기승객 불편안전 문제 발생
  • 동시에 강남역·명동입구광역버스경유하는 도심부 도로의 혼잡 문제 또한 극심한 실정으로, 증차> 통한 문제 해결이 제한적
  • (친환경) ‘2030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등, 탄소 저감 정책 기조발맞춰 친환경 차량으로 버스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
  • 서울시에서 비-친환경 버스 서울시 진입 금지 추진 중으로(도심 ‘25년, 서울 전역 ’30년) 광역버스 노선의 2층 경유버스 대차 필요
  • ⇒ 증차 없이 차내 혼잡을 해소하여 도로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국가 R&D를 통해 2층 전기버스 개발광역버스에 보급
  • 2층 전기버스(71인승)는 단층버스(44인승)보다 1.6배 많은 승객을 한번에 수송할 수 있으면서, 탄소 배출 저감에도 기여
사업 내용
  • (사업구조) 운송업체가 2층 전기버스 구입 후 광역버스 노선에 도입하는 경우, 국비·지방비 보조 (차량가격의30%)
  • 대광위에서 정한 제원 충족 시 저상버스 보조금(국토부) 및 전기차 보조금(환경부)의 신청기준을 충족하여, 운수사업자 부담 경감
  • (현황) ‘20~’22년간 연 20대, ‘23년 연 40대 보급 완료하여 현재 누적 100대가 운행 중에 있으며, 금년 중 50대 추가 보급 예정
2층 전기버스 주요 안전장치
전방충돌방지보조

(FCA:Foward Collision Avoid Assist)

전방충돌 위험 발생 시 자동제동을 통해 충돌회피 및 피해경감


차선이탈방지경고

(LDW:Lane Departure Warning)

차선에서 차량 이탈 시 운전자에게 경고(속도 60km/h 이상에서 작동)


차량자세제어장치

(EBS-VDC:Electronic Brake System-Vehicle Dynamic Control)

주행 중 차량자세감지를 통해 모터출력 및 브레이크를 제어하여 주행안정성 확보


모니터링시스템

(AVM:Around View Monitoring)

전후측방 센서 및 초광각카메라를이용한 360o 어라운드뷰를 통해 주변 보행자 및 차량과의 충돌 방지


전방 통과높이 장애물 경고시스템

전방센서(Lidar센서 3EA)를 적용하여차량의 상부 충돌 사전 경고